• 최종편집 2023-01-10(수)

[칼럼] 폭염, 재해로부터 양평군은 무엇을 할 것인가?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8.08.18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111년만의 더위가 찾아왔고, 서서히 지나가고 있다. 우리나라도 곧 아열대기후권에 들어갈 전망이라고 한다. 연일 계속되는 폭염으로 온열환자가 발생하고, 죽음으로도 이어졌다. 정부는 물론이고, 각 지자체도 이런 기후변화에 따른 행정지원이나 사업방향성 제고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40도를 오르내리는 폭염은 비 한 방울 없이 이십여 일 계속됐는데, 이런 기후변화의 주요인은 지구온난화라고 한다. 북극권을 중심으로 고산지대의 얼음이 녹아버린 것이 햇빛반사와 제트기류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우리나라를 포함한 지구의 극지방을 제외한 중간지대에 열대 돔현상을 만들고 있다. 더운기류가 정체되어 있는 우리나라는 태풍마저 빗겨가면서 그야말로 불가마 찜통더위를 겪었다.
 
우리나라는 동남아시아보다도 덥다는 여름을 맞으면서 채소값이 폭등하고, 과일이 햇빛에 그을려 떨어지는 등 농산물에도 많은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곧 다가올 추석에는 식물이 모든 성장을  멈추었다는 폭염의 피해가 그대로 물가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농업인구가 많은 양평에서도 이런 폭염에 대비한 농산물 생산과 종목 및 기타 제반 여건에 대한 재정비가 절실하다는 점이다. 한편, 줄어들고 있는 벼농사 및 수생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요인도 검토하여 농업관련사업을 조정할 필요가 보인다.
또한 이러한 기후변화는 도심의 열섬현상을 낮추기 위한 노력도 요구되고 있다. 도심에 그늘을 만들 수 있는 가로수 식재나 도심숲조성, 또는 물을 활용하여 도심의 달궈진 기온을 낮추는 노력도 필수사항으로 보인다. 하다못해 염천에 시내 도로에 재활용되는 물이라도 뿌려주는 성의가 여름 집행부의 매뉴얼에 포함되는 일도 기후 변화에 따른 군민을 배려하는 행정이라고 하겠다.
정부는 기록적인 폭염으로 인한 가정 전기료 누진률을 낮추는 등 국민들이 더위를 피해 냉방시설을 이용하는 문제를 자연재해에 대한 국민의 복지문제로 해석했다. 또한 서울시는 아파트 경비실에 에어컨을 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태양광을 설치해주고 있다. 지역에서도 군민이 폭염의 재난에서 기본적인 권리를 누릴 수 있는 다양한 행정조치가 필요해 보인다. 그밖에도 행정 전반에 걸쳐 변화하는 기후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서 다른 어느 시군보다 기후변화에 앞서 가는 양평군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런 측면에서 개별 사안이지만, 양평 물축제는 특히 이대로 반복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물의 고장 양평에서 폭염과 여름, 그리고 물이라는 조건들은 어떻게 활용 하느냐에 따라 전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축제준비관계자들이나 도리상 예의상 참가한 사람들이나 준비하다 더위에 죽을 지경이라는 말이 나왔다. 물은 관정에서 1년에 한 번 퍼올린 지하수고, 지역주민에겐 1회적인 축제일 뿐이고, 자신의 삶과 생활과 경제와 소득과 아무런 관계도 없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1억씩 더위 먹어가며 축제 진행하고, 좋은 소리 듣기 힘들고, 마을 사람들의 참여도도 더위로 인해서 뚝 떨어진 상황에서 양평군은 물축제의 모든 것을 원점에서 다시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이런 일이야 말로 공론화가 필요한 일인 것 같다.
어느 축제를 가든 장소만 다를 뿐 대동소이다. 이런 경향성에서 벗어나려면 안목과 헌신이 요구된다. 물전문가이자 소통에도 특허 준비 중인 현 집행부 리더의 면모가 내년 물축제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군민들은 지켜볼 일이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칼럼] 폭염, 재해로부터 양평군은 무엇을 할 것인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