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1-10(수)

3.1운동 100주년기념 인터뷰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9.02.11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3.1만세운동 100주년 기념 두 번째 인터뷰의 주인공은 양평군 토박이 정 복동 어르신입니다. 1930년 양평군 지평면 대평리 배잔 마을에서 태어나 결혼 전까지 그곳에서 사셨고, 해방 후 결혼하여 보금자리를 튼 양평읍에서 현재까지 거주중입니다.  


1550020754514.jpg

  

기자 : 양평군 토박이라 들었습니다. 어디에서 태어나셨나요?

  

정복동 : 나는 대평리에서 태어났어요. 대평리 알죠? 작은 오막살이에서 태어났어요.

  

기자 : 그럼요, 대평리 잘 알죠. 대평리에서 어린 시절 겪었던 기억을 말씀해 주시겠어요?

  

정복동 : 우리 어머니가 딸만 넷을 낳고 다섯째로 아들을 낳으면 저 동산에 가서 춤을 추겠다 그러셨대요. 그리곤 동생이 태어났죠. 그때 나는 멀리 밭에 일하는 아버지한테 점심도 갖다 드리고 새참도 나르고 그랬어요. 어느 날, 아버지에게 참을 날라다 주고 집에 오니까 울어머니하고 동생하고 마루에 걸터앉아 울고 앉았어. 왜 우냐고 하니까 동생이 밥을 먹고 싶은데 죽을 주니까 먹기 싫다고 울고 있다 하더라구요. 동생은 먹기 싫다고 울고 엄마는 그런 동생이 안되서 울었던 거야.

  

기자 : 그때 몇 살이셨죠, 동생과는 몇 살 터울이었나요?

  

정복동 : 나는 그때 열세 살쯤 됐을 거에요. 동생이랑은 여섯 살 터울이었어요. 그 동생이 얼마 전 저세상으로 갔어요.

 

기자 : 그러셨군요... .... 대평리에서 농사를 지으셨나요?

  

정복동 : 그럼요, 농사를 지으면 배급을 줘요. 친구는 콩깻묵을 받았는데, 나는 그걸 못 받아서 그땐 그게 그렇게 부럽더라구요.

 

기자 : 콩깻묵이요?

  

정복동 : , 콩기름을 짜고 남은 게 콩깻묵인데 친구가 먹으라고 줘서 막상 먹어보면 아주 못 먹겠더라구요. 농사를 지어도 죄다 뺏어가니까 곡식을 감춰요. 죽담이라고 담장 뒤에 독을 묻고 거기에 곡식을 감춰요. 그러면 일본 앞잡이들이 쇠꼬챙이로 담벼락을 푹 쑤셔요. 그럼 흙담이 쑥 들어가거나 독에 묻지 않은 곡식이 쏟아져 나와요. 그럼 다 뺏어갔죠.

  

기자 : 콩이나 조, 수수 같은 곡식도 농사짓고 또 어떤 작물을 농사지으셨어요?

  

정복동 : 그때 왜정 때 목화를 심으래요. 목화를 심어서 공출을 해라 그래요. 그러고 나서 목화 나무껍데기를 삶아서 벗겨 바치면 돈 얼마 주고 그랬죠. 얼마나 일본에 들볶였는지 나는 해방이 되어야 시집가겠다 그랬어요. 해방이 안 되면 시집가지 않을 거다 그랬어요. 지금 이 집이 내가 시집온 곳이에요. 나는 진짜 말대로 해방되고 열아홉에 시집왔어요.

  

기자 : 애써 농사를 짓고서도 뺏길까봐 곡식을 숨기고, 정작 가족들이 배곯고 고단했는데 어떻게 인내하며 사셨는지 말씀해 주셔요.

  

정복동 : 어머니가 봄이 오면 칼나물을 논두렁에 가서 해와요. 나물을 넣고 밥을 비비면 어머니가 얼른 수저를 놓아요. 나 많이 먹으라고... (한참 있다가) 우리 어머니가 막내 낳을 적에 내가 쌀을 퍼서 몰래 바가지에 감추어 두었어요. 어머니 해산밥 해주려고.

  

기자 : 그 힘들고 배고팠던 때 어린나이에 참 철이 들었네요.

  

정복동 : , 어머니가 옷이 없어 날마다 행주치마를 빨아 입는 걸 보고 내가 시집가면 어머니 옷 한 벌 해드려야지 그랬어요. 손이 다 닳도록 일을 했죠. 다리방아 아시지? 보리를 다리방아로 찧어 마당에 말렸다 까불러 벗겨야 밥을 해먹어요. 그럼 손이 다 닳아요. 그때 어머니가 힘들까봐 안타까워서 내가 다 방앗간으로 날랐어요. 불을 화르륵 때면 방이 뜨뜻해야 하는데 서늘해지면 이런 생각을 했어요. ‘내가 시집가면 우리 어머니 뜨뜻하게 살게 해드려야지.’

  

기자 : 어머니의 자식사랑이 극진하여 또 자녀들의 어머니 사랑도 애틋했나 봐요.

 

정복동 : 동생이 학교에 갈 때 어머니가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동생 모습이 모퉁이 뒤로 사라질 때까지 바라보고서야 집에 돌아와 밥을 자셨어. 한 삼십분이 지나도록 모퉁이를 돌아 사라질 때까지 서 계셨어. 대평리에는 과부 딸이랑 외딸(외동딸)만 학교에 다녔어요. 나도 얼마나

학교에 다니고 싶었는지 몰라요. 언니랑 나랑 그때 일본어를 배우면 내가 금세 깨우쳤어. 나를 공부 시켰으면 참 잘했을 거야. 그때 학교에는 못 다녀도 검은 양말(검은 스타킹)이 너무 신고 싶어서 아버지에게 짚새기(짚신)를 삼아 달라 그랬어. 설날에 명으로 지은 새옷을 입고 짚신을 곱게 삼아서 신고 나갔다 오니 양말 뒤꿈치가 다 구멍이 났어(말씀하시며 소녀처럼 까르르 웃으심^^)

 

기자 : 일본이 식량을 공출시키고 다른 노역도 시켰을 텐데 대평리에서는 어땠나요?

 

정복동 : 가마니를 치라고 배당을 줬어요. 우리는 농사를 짓는다고 100장이 분담이 돼요. 면에서는 밤에 일할까봐 조사가 나와요. 할머니가 들킬까봐 까만 치마를 두르고 빛이 새나가지 않게 일을 했어요. 언니하고 나하고 같이 하루 종일 일해도 가마니 세 짝밖에 못 짜요, 나는 매달린 채 배고픈 채로 일을 해요. 가마니를 다 짜면 아버지가 꿰어서 마무리를 지어요. 그럼 1, 2, 3등까지 차별적으로 돈을 줘요. 그걸 지고 대평리에서 지평에 가요. 그때는 차도 없어서 걸어서... ... 아버지가 불쌍해요. 우리 아버지 세 살 먹어서 아버지가 돌아가셨대. 우리 할머니가 과부로 아버지를 키우셨어. 할머니가 이천이 친정인데 잘 살아서 아버지에게 돈을 줘서 대평리에 땅을 샀지. 아버지는 어려서부터 일만 하니까 농사짓는 거밖에 모르셨지.

 

기자 ; 정복동 어르신의 일제 강점기 살아온 얘기를 듣다 보니 가족에 대한 안쓰러움과 애틋함, 안타까운 사랑의 마음이 느껴져요. 지금도 참 고우시고 건강해 보이셔요.

 

정복동 : 아유 나는 기운이 없어요 이제. 아유 내 정신좀 봐. 차를 드린다 해놓구선.

  

정복동 어르신이 준비해 주신 구수한 차를 마시고 귤도 하나 까먹고, 또 손바닥에 쥐어준 커피사탕도 받아 계단을 내려오며 과거와 현재가 정복동 어르신 내면에서 생명력 있게 작동하고 있음을 감지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3.1운동 100주년기념 인터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