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1-10(수)

3.1운동 100주년기념 인터뷰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9.01.21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대한민국 역사상 짧지 않은 기간 일제강점기가 있었고 그 시대를 살아낸 분들이 점차 귀해지는 시점에 20193.1만세100주년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양평토박이신문사에서는 양평지역내 어르신 한 분, 한 분의 삶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시간을 갖고자 인터뷰를 시작했습니다.

 

김옥순 :1931년 함경북도 무산군 삼장면에서 태어나 서울(마포, 답십리)에서 유년기를 보내고 여주와 양평지역에서 70여년 거주, 현재 양평군 지평면 일신리 구둔역 근처에 살고 있습니다. 

 

20190118_133205.jpg

 

 ''옥순이는 참 이뻐, 언제 이렇게 언문을 배웠어?'' 이러면서 눈물을 주르르 흘리시더라구요. 그게 얼마나 애절한 마음을 나타낸 거에요. 뭐 나를 봐서 눈물이 났겠어요. 어쩌다 한국사람이 한글도 마음대로 못 가르치고 속국이 되어 이러나 하는 마음에서였겠지요. 그 마음을 헤아려보면 나도 눈물이 나요. 얼마나 한이 맺혔겠어요.


기자 : 일제강점기에 유년시절을 보내셨는데 기억나는 구체적 경험을 말씀해주시겠어요?

 

김옥순 : 제가 그때 아홉 살인지 열 살인지 좀 늦게 학교에 들어갔어요. 왕십리에 있는 배명소학교였어요. 지금은 배명중고등학교가 되었지요. 답십리에서 살았고 교통편이 별로 없던 때라서 왕십리까지 걸어다녔죠. 그때 고무밴드 공장이 있었던지 먼지구덩이, 쓰레기장 같은 곳을 지나 다녔어요. 그 길이 지름길이었거든요. 학교 가는 길에 고무밴드를 주워 손목에 걸고 다녔어요. 그 이후 전철이 다녀서 학교에 가려고 전철역에 줄을 섰어요. 그 당시 일본아이들은 짧은 주름치마를 입고 스타킹을 신고 테두리가 있는 아주 예쁜 까만 구두를 신고 단발머리에 가방을 딱 메고 다녔죠. 우리 조선아이들은, 그때는 조선이라고 했어요, 긴 검정치마에 자주저고리, 머리도 부성하고 보자기에 책을 메고 다녔죠. 우리가 먼저 와서 줄을 서잖아요. 그러면 일본 아이들은 나중에 와도 구두 신은 발로 여기를 차요(발목과 무릎 사이 정강이를 가리키며) 그럼 아주 아프지 그냥... 여기를 팍 차며 ‘’아따야로‘’하면 막 울면서 뒤로 갔죠. 어린 나이에도 울면서 생각했죠. ‘ 왜 우리가 일본아이들이랑 같이 살아서 이럴까그런 생각이 스쳤지만 그걸 표현을 못했어요.

 

기자 : 그런 일이 있을 때 대응하거나 방어하는 한국 학생들은 없었나요?

 

김옥순 : 아니요. 아무도 그러지 못했어요. 맞고 울면서 길을 비켜주고 뒤로 가 줄을 섰어요. 속으로 억울하고 아파서 울어도 그렇게 할 줄을 몰랐어요.

 

기자 : 학교에서는 주로 일본어를 배우고 일본말을 했죠, 학교에서의 기억을 나눠주시겠어요?

 

김옥순 : 저는 외할아버지가 한문도 가르쳐주고 언문도 가르쳐줬어요. 그때는 한글을 언문이라 했거든요. 그래서 나는 한글을 깨치고 학교에 들어갔어요. 한번은 선생님이 저를 부르셨어요. 아주 어머니 같은 분이셨어요. (잠시 회상하듯이) 아주 인자하고 지금 생각해보면. . . 그분이 애국자에요. 그때 한국말을 하면 막 혼이 났어요. 일본말을 잘 못해도 학교에서는 일본말을 해야 했어요. 그런데도 선생님은 조금이라도 시간을 내서 한글을 가르치려고 애를 썼어요. 어느 날 나를 불러내더니 ‘’옥순이는 참 이뻐. 언제 이렇게 언문을 배웠어?‘’이러면서 눈물을 주르르 흘리시더라구요. 그게 얼마나 애절한 마음을 나타낸 거에요. 뭐 나를 봐서 눈물이 났겠어요, 어쩌다 한국 사람이 한글도 마음대로 못 가르치고 속국이 되어 이러나 하는 마음에서 그러셨겠죠. 그 마음을 헤아려보면 나도 눈물이 나요. 얼마나 한이 맺혔겠어요.

 

기자 : 그 마음이 언제쯤 헤아려지던가요?

 

김옥순 : 애들 키우고 애들 학교 다닐 때는 몰랐어요. 애들 다 커서 내 곁을 떠나고 혼자 있을 때 문들 그 생각이 났어요.

 

기자 : 학교 분위기는 어땠나요, 혹시 일본인이 감시하거나 그런 일도 있었나요?

 

김옥순 : 배명소학교에서 여주로 이사와 북내에 있는 학교에 다녔어요. 시골이라 그런지 일본인이 감시하거나 그러지는 않았어요. 일본말을 잘 하면 사쿠라 뱃지를 하나씩 달아줬어요. 벚꽃이 일본 나무라는 말이 있어요. 되지도 않는 일본말을 열심히 배우려고 기를 쓰고 그랬죠. 누군가 조선말을 사용하면 서로가 ‘’얘 조선말 쓴대요.‘’ ‘’얘 조선말 썼어요.‘’서로가 그랬어요. 지금 같으면 안 그러지. 서로 숨겨주고 가려주고 그래야 하는 거 아니에요?‘’

 

기자 : 한참 성장기에 음식도 귀했을텐데 먹거리는 어땠나요?

 

김옥순 : 땅을 좀 사서 농사짓는데 벼농사를 지으면 다 뺏어갔죠. 밭작물도 맘대로 못 심었어요. 목화를 심어야 했어요. 전쟁의 막판으로 치달을 때였죠. 놋숟가락, 놋그릇까지 다 가져가고 농작물도 모조리 공출했어요. 학교 다니며 공부도 거의 못하고 모심고 풀베고 주로 일을 했지요. 먹을게 없어서 많이 주렸어요. 쑥을 캐다가 쌀을 요만큼(손바닥을 오므려 보이시며) 넣고 쑥을 많이 넣어 쑥밥을 해요. 이게 목에 걸려 넘어가질 않아서 토하곤 했죠. 감자를 심으면 감자가 클새가 없어요. 학교 갔다와 배가 고프니까 감자가 클새도 없이 캐어먹었죠. 배 많이 곯았어요. 여기(여주) 내려와서요.

 

기자 : 그럼 소학교 이전 더 어린 시기는 어디에서 보내셨나요?

 

김옥순 : 어려서는 함경북도 두만강 근처에서 살았어요. 거기에서 태어났어요. 일정 때 먹고 살기 힘들 때 만주 어디를 가면 땅도 거저 얻고 농사도 맘대로 짓고 산다고 했죠. 그 당시 양반들은 아무리 어렵게 살아도 막노동은 꺼려했어요. 외할아버지가 어머니와 동네 청년이었던 아버지를 데리고 거기로 갔죠. 두만강 무산 삼장(함경북도 무산군 삼장면)이란 곳에서 비단장사를 했어요. 어릴 때 기억이 생생해요. 가게를 아주 크게 차리고 각종 잡화가 많았죠. 두만강이 겨우내 얼었다 녹으면 집채만한 얼음이 위에서부터 엉켜서 내려와요. 강가에 있던 가게까지 얼음덩어리가 넘쳐서 가게 물건이 다 쓸려간 일도 있었어요. 외할아버지는 거기서 돌아가시고 이모는 두만강 근처 다리를 건너 중국으로 넘어가 아주 그쪽 사람이 되버렸죠. 지금도 두만강 그 푸르던 물이 기억에 생생해요.

 

기자 : 함경북도에서 태어나 마포에서 잠시 살다가 답십리를 거쳐 여주까지 오신 거네요. 그리고 지금은 양평에 살고 계시구요.

 

김옥순 : 그렇지요. 두만강에서 가게가 몇 차례 떠내려온 얼음덩어리에 피해를 입고 마포로 왔던 거에요. 가게서 번 돈으로 집을 두 채 샀어요. 길가에 있던 집이었는데 일본 사람들이 다 비키라고 하는 바람에 답십리로 갔어요. 그리고 여주로 와서 가장 고생이 심했죠. ‘일본 순사라고 들어봤지요? 기다란 칼을 허리춤에 차고 무릎까지 오는 신발을 신었는데 걸으면 저벅저벅, 칼이 덜컹덜컹 소리가 나요. 저기만 오명 아이들이 ‘’얘 순사 온다‘’ 소리쳐요. 그러면 얼른 뛰어가 숨어요. 길을 가다 경찰서를 지나다 보면 기다란 막대기로 한국 사람들을 때리는 것도 봤어요. 우리 시대가 우리 어머니 아버지 세대에 이어 식민치하와 전쟁으로 고생이 많았어요.

 

기자 : 그 어렵고 힘들고 배고팠던 시절에도 훈훈한 추억담이 있으시죠?

 

김옥순 : 그럼요, 주암에서 북내 학교까지 가려면 몇 십리는 족히 될 거에요. 아버지가 짚새기(짚신)를 삼아주면 그게 하루를 못가요. 게다(나막신)는 어찌나 발이 아프고 무거운지 몰라요. 나무 조각에 못 박아 놓으면 얼마 안 되어 끈이 다 벗겨져요. 불편하고 발 아파서 밤낮 벗어들고 맨발로 다녔죠. 그래서 내가 건강한 거 같아요. 어쩔 때는 달 보고 나가 해지고 깜깜해서 들어왔어요. 학교가는 길에 언덕을 지나며 ‘’우우~~‘’ 하고 신호를 보내면 ‘’우우~~~‘’ 하고 친구가 화답을 해요. 그러면 만나서 같이 학교에 가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는 밤나무에 올라가 밤을 따먹고 놀았죠. 그 먼 길을 고생으로 안 알고 재미로 알았어요.‘’

 

기자 : 해방의 기쁨은 어떻게 누리셨는지 들려주세요.

 

김옥순 : 3학년 때 해방이 됐을 거에요. 학교에 갔는데 선생님이 ‘’인제 너희들 모도 안 심고 호미도 버리고 낫도 다 버려라. 해방이 되었다.‘’ 그러시죠. ‘’해방이 뭐에요?‘’ 그러자 ‘’일본놈들이 전쟁에 져서 다 쫓겨가 우리 이제 마음대로 자유롭게 살거야.‘’모두들 ‘’야 좋다 해방이다‘’ 손뼉을 치고 소리를 질렀어요. 내가 그때 열세 살인가 열네 살 때였어요.‘’


  김은주 earlyhumming@naver.com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3.1운동 100주년기념 인터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